몽이아빠 개인적인 일상다반사로 부터 얻은 영감, 깨달음, 가치관이라 할 만한 것들에 대해 소소히 정리하는 공간

아래는 법륜스님과의 대화 자리에서 나왔던 고민 상담 사례이다.
누구나 하는 고민 중 하나고, 그 답이 그래서 상투적일 수 있지만 법륜스님 답변은 좀 다르게 느껴진다. 
미리 저런 답을 자문자답해았을 문제였겠지만, 그래도 "먹고사는 일부터 하라"라는 말을 누구나 알지만 저렇게 풀어 이야기하기 쉽지 않다는 점에서 ..감히 평가한다면 보통 내공은 아닐거라는 생각.

하고픈 걸 해라?
누구나 말은 쉽지만, 역시 명분이 명확하지 않다면, 그 역시 무책임한 이야기.

내용도 내용이지만 부드러우면서도 깨달음을 이룬 후 설명한다는 느낌. 과대 포장하긴 싫지만...
물론 내게도 기분 좋은 자극이 되었다. 단순한 사례 하나로 나 역시 또 하나 배웠음.




153666365108633E2D22B0.jpeg 

(사실 질문하는 처자의 짝다리 자세가 범상치 않은 모습으로 느껴졌다)

- 질문자 : 4학년 대학생입니다. 졸업을 앞두고 잘하는 일과 좋아하는 일이 다르다는 것을 깨달았습니다. 그래서 잘하는 일과 좋아하는 일 중에서 도대체 어떤 것을 선택해야 좋은 선택인지 알고 싶어요. 물론 양쪽 다 후회는 남겠지만 어떤 선택을 해야 할까요?

그리고 놀이처럼 일을 하라고 말씀하셨지 않습니까? 그런데 저는 꿈이 굉장히 많습니다. 하고 싶은 일도 너무 많고요. 꿈을 위해서 어떻게 나아가야 될까요?

- 법륜스님 : 잘하는 일과 좋아하는 일 중에 어는 쪽을 선택할 건지 보다 우선 ‘밥 먹고 사는 일’을 먼저 선택하세요. 생존이 먼저입니다. (청중 웃음)

한 50만원 정도 벌면 생존은 되죠? 그 정도에서 시작해서 그 이상이 된다면 좋아하는 것도 겸하면 좋지요. 세상에서 돈을 벌려면 잘하는 것을 해야 돈을 받겠지요. 좋아하는 것을 해서 돈 받을 수 있는 건 아니잖아요. 그죠?

첫 번째 단계는 잘 하는 것을 먼저 시작해야 돼요. 그래야 밥을 먹고 사니까요. 두 번째 단계는 밥 먹으면서 좋아하는 걸 겸해요. 좋아하는 일을 겸해서 하다가 좋아하는 일만 하고도 굶지 않고 살 수 있다면 그 때 옮겨가면 돼요. 처음부터 좋아하는 일을 선택하려고 하지 말고요. 자기는 뭐를 잘하고 뭐를 좋아해요?

- 질문자 : 좋아하는 쪽은 제가 심리학과이다 보니까 그쪽으로도 나가고 싶고요. 잘하는 쪽은... 제가 봉사활동을 굉장히 안 좋아해서 그런 일에 맞지 않다는 걸 깨달아서 오히려 경영학과를 같이 복수전공 하고 있어요. 심리학을 전공하기 위해서는 사람을 사랑하는 마음이 중요할 것 같아서 봉사활동을 했었어요.

- 법륜스님 : 심리학을 하는데 사람을 사랑하는 게 중요하다고요? 아니에요. 심리학을 하려면 자기 마음이 작용 하는 것에 대해서 늘 궁금해 하면 돼요. ‘어? 마음이 이래 작용하네. 마음이 저래 작용하네. 생각은 이런데 마음은 절로 가네.' 이렇게 자기 마음이 작용하는 것을 신기해 하면서 늘 관찰하면 돼요. 이렇게 자기를 실험으로 하면서 한번 해보고 두 번 해보고 그러면서 심리학 책을 봐야 돼요. 심리학 책을 먼저 보는 것은 지식 밖에 안 돼요. 자기가 체험하면서 자기에게 일어나는 것을 견주어 보고 평가해 보고 해야 아무리 훌륭한 사람이 말해도 ‘저 사람 제대로 공부 안 하고 쓴 것이구나' 딱 발견 할 수 있단 말이에요. 안 그러면 ‘이 사람들 진짜 연구 잘했구나! 이거까지 알았네?' 이렇게 될 수도 있고요. 그렇게 공부를 해야 살아있는 공부가 돼요.

이런 공부는 직장 다니면서도 할 수 있어요. 왜? 자기 마음은 언제나 작용하고 있으니까요. 그러니까 자기가 이제 정하면 돼요. 노가다 하면서도 겸할 수 있고, 직장 다니면서도 겸할 수도 있어요. 그래서 겸해서 하다가 이것을 가지고 자기 성과를 내고 그걸 갖고 다른 사람에게 얘기하고 상담해주고 그러면서 약간 수입이 생기면 어때요? 밥벌이 하는 직장은 관둬버리고 옮겨가면 된다 이 말이에요.

그러니까 잘 하는 것을 해야 하냐 좋아하는 것을 해야 하냐 이러지 말고 일단 밥 벌이를 시작해야 됩니다. 사회에 첫 발을 들일 때는 세상에 필요한 일을 내가 해야 돼요. 왜? 세상에 필요한 일을 해줘야 돈을 주거든요. 내가 좋아하는 일을 하면 돈을 주나요? 안 줘요. 내가 좋아하는 일은 내가 돈 내고 해야 돼요. 물건을 옮겨주던지 짐을 덜어 주던지 세상에 필요한 일을 해줘야 돈을 받을 수 있습니다. 세상이 필요한 일은 내가 잘해야 돈을 받겠죠? 할 줄 모르면 돈 주나요? 안 줘요. 그러니까 잘하는 일을 먼저 시작하고, 거기서 좋아하는 일을 부전공으로 하다가 좋아하는 일로 옮겨가면 삶이 노동에서 놀이로 전환할 수가 있습니다. 

- 질문자 : 꿈이 많은 것은 어떻게 해야 하는지 조언을 해주세요.

- 법륜스님 : 그런데 그건 꿈이 아니고 제가 볼 때는 욕심이에요. 이것저것 다하고 싶은 건 욕심이에요. 왜냐하면 사람이 이것저것 다 할 수가 없어요. 또 한편으론 너무 걱정을 하기 때문에 여러분들은 도전을 하기가 어렵기도 합니다. 20대에는 너무 성공하려고 하지 말고 만약 몇 가지 문제가 있더라도 그냥 해보는 것이 필요해요. 욕심을 내서 이것도 하고 저것도 하고 이러지 말고, 하나를 하면서 거기에 연관 되는 다른 걸 해보는 게 좋습니다. 인생 상담을 하다가 상담하는 중에 청소년 문제가 발생하면 청소년 문제를 하고, 또 거기에 알코올 중독자 문제가 생기면 또 알코올 중독자 문제를 하고 이렇게요. 너무 복잡하게 연관 없이 하면 그걸 욕심이라 그러는 겁니다. 이것저것 한번 해보세요.

- 질문자 : 스님, 감사합니다.

질문한 친구가 환하게 웃으며 자리에 앉았고 옆에 앉은 한 청년이 “명쾌하네” 라며 수근거렸습다고 하더군요.
후후...어떻게 와닿았건, 기대 이상의 답변을 얻었을거라 생각합니다.


*몽이아빠 덧붙임,

사실 나는 혜민스님처럼 속편한 (소위 "힐링"식) 다독거림의 글들에 거부감을 느끼는 성격이다.

경험해보지도 않고 대안도 없이 맘 다스리기에 치중하는 듯 한 말은 오히려 소중하고 처절한 고민의 기회를 날릴 뿐 아니라, 대안을 찾는데에도 회피할 수 있도록 하는 부작용이 있기에 "무책임하다"라고 까지 평가한다.


법륜스님...

꿈이 많다는 고민에, 그건 꿈이 아니고 제가 볼 때는 욕심이에요.
심리학을 하기위해 싫은 봉사 하고 있다는 말엔,
"심리학을 하는데 사람을 사랑하는 게 중요하다고요? 아니에요. 심리학을 하려면 자기 마음이 작용 하는 것에 대해서 늘 궁금해 하면 돼요. ‘어? 마음이 이래 작용하네. 마음이 저래 작용하네. 생각은 이런데 마음은 절로 가네.' 이렇게 자기 마음이 작용하는 것을 신기해 하면서 늘 관찰하면 돼요."  
이 부분...참 정확하다. 나도 그리 말한 적이 있다. 하지만 상대가 인정 할 수밖에 없는 부드러우면서 굳건한 설득력이 느껴진다.
혜민스님처럼 속편한 마음다스림성 힐링만 시도하는 분과는 자뭇 다른 느낌.

책은...어디보자...90년부터 13년간 63권! 연간 평균 5권 집필.

면면을 살펴보면, 정치, 사회 문제에 대한 언급도 꽤 있고, 대충 둘러보면 젊은이들을 대상으로한 이야기집들이 다수를 차지한다.


그리고 이 책.


271E993750EA7460106F9D.jpeg 

법륜스님의 책, "방황해도 괜챦아".

이런 제목의 책을 싫어하기까지 하는 이유는 앞서 말한 것과 같다. 
하지만, 다행히 그 내용은 비겁하지 않고 구체적이며, 현실과 동떨어지지 않고 적당한 거리를 유지하며, 그 문장은 평이하고 어렵지 않되 적극적으로 인생에 임할 수 있도록 내비게이션 역할을 하려는 의지가 느껴진다면 오버일까?


법륜스님, 이 짦은 사례 덕분에 호기심이 더 생겼다. 약간의 반골(?) 기질도 있고, 상대가 다른 말을 할 땐 지적도 부정도 설파도 논쟁도 마다하지 않으심.
음...최근
 
"종교인 과세는 당연하다" 인터뷰에서 볼 수 있듯, 종단 내에서도 나름의 의견은 소신있게 밝히는 분.

심지어는 "박근혜 지지 안한 세력도 국정운영 도와야" 라는 등, 때론 무당파적, 때론 좌우를 넘나드는 자유로운 의견을 내시는 분. 물론 한 부분만 잘라내여 써대는 기자들 때문에 일부 헤깔리는 면도 없지 않았음을 인정.

그런 분이 끊임없이 중생들과 이야기나누고, 그 때 마다 젊은 이들의 고민에 적극적으로, 그리고 현실적으로도 비겁하지 않게 대응할 수 있는 방법들을 쉽게 설명해주고 있음을 위 사례에서 확인할 수 있었다.

다른 사례들은 아래에서...
[법륜스님에게 물었다.]

이름 꽤 알려진 여느 스님들처럼 누구에게나 좋지만, 모호함에 있어선 뜬구름 잡는 듯한 말씀들은 아래에 많다.(130131 현재)
[법륜스님 FB 페이지]

마치며...
소위 베스트셀러 쓰는 스님들의 뜬 구름 잡는 얘기들은 감상적으로만 다가오기에 무책임하다 느껴지기까지 했으나,
 
법륜스님의 경우 경험하지 않고도(내 착각일거라 생각되나) 어찌 저리 쉽고 깔끔하게 이야기해 줄 수 있는지
 
오늘의 법륜스님 상담사례를 보면서 잠시 여러 생각을 정리해 보았다.(끝. 130131)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날짜 최근 수정일 조회 수 추천 수
공지 3.탈고전 몽이아빠, 혼잣말 게시판 file 2012-06-02 2013-02-25 14:23 105592  
190 1.글감 잘 난 게 죄? 2015-08-31 2015-08-31 21:02 2583  
189 1.글감 맨날 읽기만 하는 사람보다 스스로 적은 것이 많은 사람이 더 잘 쓴다. file 2015-06-05 2015-06-05 02:57 2700  
188 1.글감 침몰하는 배에 남은 아내가 자신을 남겨두고 떠난 남편에게 마지막으로 한 말은? file 2015-03-09 2015-03-09 15:37 3323  
187 1.글감 오해한 사람과 오해할 짓을 한 사람, 그리고 혼자 오해한 사람. file 2015-01-02 2015-01-02 11:09 7193  
186 1.글감 소중하니까 오래 본다? 오래보면 소중해 진다? file 2014-12-04 2014-12-04 01:55 3566  
185 1.글감 시간은 기회비용. 몸은 거짓말을 하지 않고... file 2014-12-03 2014-12-03 22:54 3710  
184 1.글감 남을 위할 수록 내게 다시 돌아온다는 것을 기술적으로 활용하면? file 2014-11-21 2014-11-21 19:55 5097  
183 1.글감 내가 아는 내 모습, 남이 보는 내 모습...무엇이 정확한가? file 2014-11-09 2014-11-09 17:52 4076  
182 1.글감 스티브 잡스 : 인생의 진실...그리고 내가 생각하는 행복 2014-11-01 2014-11-01 21:25 5478  
181 1.글감 충분한 고민을 버텨쥴 몸을 먼저 만들어야 한다. file 2014-10-26 2014-10-26 22:07 4700  
180 1.글감 가장 바람직한 모습이 된 것처럼 대하라. 그리고 괴테& 파우스트 file 2014-09-15 2014-09-15 10:56 6208  
179 1.글감 '버핏과의 점심' 경매 낙찰자가 꼽은 5가지 교훈...그리고 내 이야기 file 2014-09-15 2014-09-15 10:34 6753  
178 1.글감 정치성향 테스트 결과를 보고... file 2014-09-13 2014-09-13 22:34 6941  
177 1.글감 에버노트 창업자 "최고 전략은 경쟁 안하는 것" file 2014-09-13 2014-09-13 22:31 5472  
176 1.글감 완벽한 인간 관계란? file 2014-08-18 2014-08-18 13:53 5343  
175 1.글감 결정을 잘 못하는 사람들의 3가지 착각 2014-08-14 2014-08-14 13:37 6294  
174 1.글감 "그걸 왜 해야되?"와 "Why not"의 차이 file 2014-08-14 2014-08-14 13:24 8833  
173 1.글감 기회 판별 및 선택 법. 인생은 타이밍...그 것은 내 본질에 대한 이해가 기반 2014-08-09 2014-08-09 18:18 5993  
172 1.글감 논리를 구조화 하는 것이 이해의 핵심 2014-07-24 2014-07-24 10:53 5170  
171 1.글감 남한테 무언가 소개, 도움, 조언, 선물하려할 때... 2014-07-24 2014-07-24 10:14 5775  

>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