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지원과제 살펴보는것도 참 만만치 않네요.'라는 질문의 댓글(펌)



과제 선정과 평가에는 반드시 연구 행정을 담당하는 공무원이 동석하게 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2가지가 핵심이 아닐까 싶습니다.

첫째, 해당 정부의 정책을 수렴하도록 해야 합니다. 즉 정부에서 많이 언급하는 용어나 정책 기조를 적극 반영토록 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현 정부에서는 창조경제를 강조하고 있습니다. 특히 정부 3.0을 포함하고 있는데, 이는 부처, 부서간 업무 소통을 통해 업무효율와 예산 낭비를 막고자 하는 것입니다. 그렇다면 연구 과제에서는 어떻게 반영되어 있는가를 보면 '소통'은 바로 '연구협력'입니다. 현황, 연구동향, 시프트 분석을 통해 얻은 기술력 분석을 토대로 국내 혹은 국제적 연구 협력을 할 것을 반영시키면 됩니다. 특히 사업단이라면 소과제이고, 과제 단위라면 세부과제를 담당하는 연구 책임자의 인력을 이에 맞춰서 하면 높은 평가를 받을 수 있습니다. 즉 동향 분석 결과 과제를 응모하는 분야에 대한 기술력이 뒤쳐져 있지만 국내 연구진으로 충분하다면 산학연 3자 합동으로 구성하고 이를 상용화시켜 창조경제를 이룩하겠다는 식입니다. 그렇다면 기대효과에는 논문 뿐만 아니라 산업권 즉 특허 출원 실적이 반드시 높게 책정되어야 합니다. 또한 이를 통해 구체적인 액수(이게 애매하지만 정부 발행 자료를 참고하면 대부분 다 나와 있으며 이러한 출처를 언급하는 것이 좋습니다)를 제시하고 향후 5년 단위식으로 전망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만약 현황 분석 결과 국내 연구 및 기술력이 외국과 비교해 많이 뒤쳐져 있다면 국제 공동 과제로 연구진을 구성하여 연구협력 즉 소통 강화를 하겠다는 식으로 기술하는 것이 좋습니다. 연구성과로 산업권이 나오면 좋지만 이보다는 SCI급 국제 논문이 많이 게재되는가를 보고 평가의 주안점을 두게 됩니다. 딱히 새로울 것이 없는 내용이지요. 다만 같은 내용을 다루더라도 이것이 현 정부에서 반영하고 있는 정책 기조 방식대로 풀어내느냐가 관건입니다.

둘째, 세부적으로 연구 항목으로 들어가면 해당 연구분야의 주무 부처나 산하 연구기관의 연구 정책을 따르는 것이 좋습니다. 이는 무엇보다 주무부처의 연구 방향, 아젠다(년차별 연구 일정을 반드시 참고해야 함) 등을 참고해야 합니다. 즉 전혀 새로운 기술에 대한 연구라 하더라도 연구 기술의 세부 분야별 분류와 계획이 주무 부처에서 발행한 아젠다 백서에 반드시 나와 있습니다. 여기에 나온 분류 항목에 맞춰 방향과 아젠다를 구성하는 것이 좋습니다. 즉 논문이나 특허 동향 분석은 기술 동향 부분에서 정도만 다루는 것이 좋습니다. 즉 처음부터 끝까지 논문만 인용하듯이 작성하면 그건 학위 논문에 불과하고, 연구를 위한 연구 혹은 상용화까지는 많은 시일이 소요되는 연구라고 평가합니다. 또한 정부 아젠다가 반영되지 않으면 해당 연구를 정책적으로 지원할 당위성을 가지기 어렵습니다. 정부 예산이 지원되는데, 아젠다와 다르다면 연구 행정 담당자는 징계 사유가 됩니다. 즉 같은 내용을 다루더라도 정부 아젠다가 반영된 과제 제안서는 합격이고 동일한 내용이더라도 논문 혹은 특허 분석 자료만으로 작성된 제안서는 아마추어 혹은 불필요한 연구라고 평가합니다. 

혹자는 연구 행정 담당자가 전문 지식이 부족하다고 평가하거나 공무원적 사고 방식이라고 폄하하지만 그 심사위원 입장에서 보면 그는 하루에도 수십개의 제안서를 살펴야 합니다. 그렇다면 본인이 보아온 용어, 계획과 일정, 성과, 기대효과, 출처로 언급된 정부 백서등이 노출된 제안서가 당연히 익숙합니다.

그리고...

정부 연구과제는 논문도 중요하지만 그보다는 앞서 언급한 정부 연구 아젠다와 기술성과 백서 자료를 반드시 참고하여 연구 프레임을 가지고 작성해야 합니다. 


비지니스 모델 및 항후 발전 가능성


이걸 인문, 경영 분야 논문으로 참고하시면 안됩니다. 그렇게 작성된 제안서라면 분명 좋은 점수를 못 받을 것입니다. 제가 심사위원이라면 전 탈락을 면할 수 있는 하위 등급을 줍니다. 이유는 앞서 언급한 것과 같습니다. 논문은 논문일 뿐입니다. 상용화를 위해서는 또다른 시행착오와 현장 적용을 위한 과정을 거쳐야 합니다. 그런데 그 전망조차 논문으로 대처하면 더더욱 이론적인 전망치에 불과하기 때문입니다. 또한 대부분의 자연과학 분야의 산하 및 정출연을 살펴보시면 동일한 분야에 대한 경영 혹은 경제 연구원이 있습니다. 


현 경제 가치 분석과 향후 기대 성과에 대한 전망 역시 이들 연구원에서 모두 하고 있으며, 관계 협의때도 실제 해당 분야 기술원과 과학원의 경영 분석과 공무원을 포함한 대학교수들과 격주 혹은 매달 과장급 회의 혹은 국장급 회의를 하고 있습니다. 물론 그 회의에는 실무진들이 동석하고 이들에 의해 해당 보고서가 작성되고, 분기 혹은 매년 종합 보고서가 발간됩니다.


이들 자료를 반드시 참고해야 합니다. 


간혹 가다가 정부 간행물도 아니고 논문도 아닌 경영 분석 혹은 시계열 통계 분석을 통해 자기가 분석한 데이타를 통해 전망치를 내놓은 제안서를 들고 오는 분들이 계십니다. 이런 분들은 연구진 구성이 아주 특별한 경우가 아니면 무조건 탈락입니다



(출처 http://www.kpug.kr/kpugfreeboard/2068761 )

여기선, "네비家 몽이아빠"
navikorea@gmail.com

첨부
엮인글 :
http://naviga.cafe24.com/c_livinginfo/221526/73f/trackback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날짜 조회 수
공지 기타 내가 궁굼해 하는 것들을 다른 사람들도 궁굼해 한다면? file [182] 2012-01-05 133101
939 애견/동물 유기견 보호소 10일 후 안락사에 대한 법적 근거 2018-09-06 1209
938 동영상편집 환상의 콤비 프리미어 프로&애프터 이펙트&포토샵 CS6 file 2015-08-24 3195
937 쇼핑/직구/공구정보 10만원대 프린트, 웹서핑, 쇼핑, 금융 거래 전용 똑딱이 노트북,탭 구매 후보 2015-08-11 2636
936 회사경영/회계/재무/인사 CEO, CFO, CCO, CDO, CIO, CKO, CLO, CMO, CPO... 각 의미 정리 file 2015-08-10 19311
935 무역 무역 용어, 업무 정리 secret 2015-04-30  
934 Google 구글 검색 꿀팁 9개 file 2015-03-30 1976
933 회사경영/회계/재무/인사 개인회사로 남을까? 법인을 만들까? file 2015-03-06 3179
932 웹개발/웹디자인 cafe24 쇼핑몰에 구글 애널리틱스 소스 넣는 방법(펌) file 2015-03-04 8713
931 체험학습여행프로그램 워커랠리, 워크랠리란? file 2015-03-03 4924
» 창업/벤처/지원사업 '정부 지원과제 살펴보는것도 참 만만치 않네요.'라는 질문의 댓글(펌) file 2015-03-01 1741
929 건강_운동 당신의 몸을 변신시켜줄 7가지 운동방법 file 2015-02-26 2083
928 금연_전자담배 담배를 영원히 끊기위한 15가지 방법 file 2015-02-26 4699
927 생활상식/별별정보 닥공 : 해외여행 미니가이드북 무료 다운로드 file 2015-02-11 2548
926 작은집Project 보급형 이동식 목조주택 by 하우시스코리아 file 2015-01-26 5533
925 작은집Project 경량식 목조주택 by 하우시스 코리아 file 2015-01-26 3855
924 작은집Project 레고스타일, 옥탑방 개조 인테리어 아이디어 집짓기 file 2015-01-26 3171
923 건강_아토피 아무리 달고 짜고 독해도 먹을 수 있게 마들어주는 식품첨가물의 비밀. file 2015-01-19 3241
922 건강_일반/기타 Nopoo (샴푸 안쓰기) 맹물로 머리감기에 대해 샅샅히 정리, 검증, 체험 중입니다. file 2015-01-19 6254
921 건강_먹는거 이왕재 교수의 비타민C 이야기, 논란 재점화 file 2015-01-15 5269
920 건강_일반/기타 척추 명의 충격적 인터뷰! "척추수술 하지마라!" file 2015-01-11 3823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