몽이아빠 개인적인 일상다반사로 부터 얻은 영감, 깨달음, 가치관이라 할 만한 것들에 대해 소소히 정리하는 공간
*자이언효과
새누리당이 조금만 멀쩡한 짓을 하면 좌파나 민주당은 존재감 상실
성격 개같던 놈이 어쩌다 신경써주는 말 한 마디 하면 "원랜 속 깊은 놈"
남들한테 평이 안 좋은 놈이, 나한텐 유독 잘 통하는거 같으면 "저들이 뭘 모르는거"
맨날 착하게 사는 놈은 착한 짓을 아무리 해도 그냥 "맨날 하던 짓"에 불과하단 평 혹은 칭찬에 인색해지는 이유?
모두 아래 글에선 자이언 효과라고 하고 있다.
본문 내용에 추가해서 혼잣말로 좀 더 읊자면
자이언 효과는 "원래"라는게 존재할거라는 전제에서 시작한다.
세상에나~
"원래 어떠하다"라는 말이 흔히 쓰이긴 하지만, "원래"라는 말은 "원래 없다"는 걸 인정해야 저런 착시에 빠지지 않을 수 있다.
"원래는 어떤데, 겉 보기엔 어떻다."
이 경우 반전있는 캐릭터로 좋아뵈긴 하지만, 그냥 보이고 행동하고 말하는대로 사람을 보면 되는 것 뿐.
너무 꼬아가며 무리한 반전 시나리오를 기대하지 말자.
착하고 순진한 사람들 매력 반감시키는 짓...
사실 사람이 모든 이들 앞에서 똑같은 모습으로 비춰진다는거 자체도 무리지만,
그렇다고 원래의 모습이란게 따로 있고, 그걸 허상이 아닌 (반전감 넘치는)실상으로 인정하는 순간, 그걸 악용하는 이들은 사람들 앞에 "원래"라는 가정 하에 착각을 유도, 혹은 유인한다.(의도하지 않았지만 사람들이 그리 생각했을 뿐이란 말을 하기 좋은 상황)
"결국 생각만큼 나쁘진 않았어"에서 "내가 잘 몰라서 나쁜 사람이라 생각했어"로 넘어가는 것이다.
"원랜 그렇지 않았어..."
과연 그 "원래"라는게 있긴 하다고 보는거야?
원래 "원래"라는 말과 "절대"라는 말을 쓰는건 하수라고 했다.
(남들이 믿어주지 않을 것을 겁낸 결과 습관화된 언어적 보호망) 흐흐
(내용 중)
원래 무척 나쁜 놈인데, 그런 식으로 한번 착한 구석을 살짝 보여주니까 어째서인지 굉장히 착한 놈으로 느껴진다. 그래서 그걸 보고 나면 심지어 TV판을 다시 볼 때도 ‘저 자식이 나쁜 짓을 하는 게 사실은 다 속 깊은 선의가 있겠지’라는 식으로 재해석까지 하는 자신을 발견한다.
자이언 효과는 여기에서 착안한 심리효과다. 항상 글러 먹었다가 반짝 좋은 일 하나 하면 매우 근본적으로 좋은 녀석으로 보이고, 반대로 항상 착하다가 삐끗 한 가지 잘못하면 매우 근본적으로 못된 놈으로 보인다는 현상.
심리학의 귀인 이론에서 당연히 이미 더 학술적 설명과 용어를 만들어놨겠다 싶지만, 이미 케로로, 은혼, 크로마티고교 등 걸출한 개그만화들에서 인용되곤 할 정도로 꽤 대중문화적으로 보편화된 이 용어가 딱 좋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