몽이아빠 개인적인 일상다반사로 부터 얻은 영감, 깨달음, 가치관이라 할 만한 것들에 대해 소소히 정리하는 공간

*자이언효과

 

0001_(8).jpeg

 

새누리당이 조금만 멀쩡한 짓을 하면 좌파나 민주당은 존재감 상실

성격 개같던 놈이 어쩌다 신경써주는 말 한 마디 하면 "원랜 속 깊은 놈"

남들한테 평이 안 좋은 놈이, 나한텐 유독 잘 통하는거 같으면 "저들이 뭘 모르는거"

맨날 착하게 사는 놈은 착한 짓을 아무리 해도 그냥 "맨날 하던 짓"에 불과하단 평 혹은 칭찬에 인색해지는 이유?

 

 

모두 아래 글에선 자이언 효과라고 하고 있다.

 


본문 내용에 추가해서 혼잣말로 좀 더 읊자면

자이언 효과는 "원래"라는게 존재할거라는 전제에서 시작한다. 

세상에나~ 

"원래 어떠하다"라는 말이 흔히 쓰이긴 하지만, "원래"라는 말은 "원래 없다"는 걸 인정해야 저런 착시에 빠지지 않을 수 있다.

 

 

"원래는 어떤데, 겉 보기엔 어떻다."

이 경우 반전있는 캐릭터로 좋아뵈긴 하지만, 그냥 보이고 행동하고 말하는대로 사람을 보면 되는 것 뿐.

너무 꼬아가며 무리한 반전 시나리오를 기대하지 말자.

착하고 순진한 사람들 매력 반감시키는 짓...

 

 

사실 사람이 모든 이들 앞에서 똑같은 모습으로 비춰진다는거 자체도 무리지만, 

그렇다고 원래의 모습이란게 따로 있고, 그걸 허상이 아닌 (반전감 넘치는)실상으로 인정하는 순간, 그걸 악용하는 이들은 사람들 앞에 "원래"라는 가정 하에 착각을 유도, 혹은 유인한다.(의도하지 않았지만 사람들이 그리 생각했을 뿐이란 말을 하기 좋은 상황)

 

 

"결국 생각만큼 나쁘진 않았어"에서 "내가 잘 몰라서 나쁜 사람이라 생각했어"로 넘어가는 것이다.

 

"원랜 그렇지 않았어..."

과연 그 "원래"라는게 있긴 하다고 보는거야?

원래 "원래"라는 말과 "절대"라는 말을 쓰는건 하수라고 했다.

(남들이 믿어주지 않을 것을 겁낸 결과 습관화된 언어적 보호망)  흐흐 

 

 

http://ppss.kr/archives/6315

 

 

(내용 중)

 

 

원래 무척 나쁜 놈인데, 그런 식으로 한번 착한 구석을 살짝 보여주니까 어째서인지 굉장히 착한 놈으로 느껴진다. 그래서 그걸 보고 나면 심지어 TV판을 다시 볼 때도 ‘저 자식이 나쁜 짓을 하는 게 사실은 다 속 깊은 선의가 있겠지’라는 식으로 재해석까지 하는 자신을 발견한다.

자이언 효과는 여기에서 착안한 심리효과다. 항상 글러 먹었다가 반짝 좋은 일 하나 하면 매우 근본적으로 좋은 녀석으로 보이고, 반대로 항상 착하다가 삐끗 한 가지 잘못하면 매우 근본적으로 못된 놈으로 보인다는 현상.


심리학의 귀인 이론에서 당연히 이미 더 학술적 설명과 용어를 만들어놨겠다 싶지만, 이미 케로로, 은혼, 크로마티고교 등 걸출한 개그만화들에서 인용되곤 할 정도로 꽤 대중문화적으로 보편화된 이 용어가 딱 좋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날짜 최근 수정일sort 조회 수 추천 수
공지 3.탈고전 몽이아빠, 혼잣말 게시판 file 2012-06-02 2013-02-25 14:23 105588  

2.수정중 한센,Phil hansen의 TED 강연 : 수전증 미술학도 file

  • 2014-06-22
  • 2014-06-22 13:15
  • 조회 수 4127
  • 추천 수 0

2.수정중 김어준 曰, 행복은 저축하는 것이 아니다. 잘 사는 사람이 훌륭한 것 file

  • 2013-09-13
  • 2013-11-07 18:10
  • 조회 수 6371
  • 추천 수 0

2.수정중 아들이 성소수자임을 밝히자 어머니가 남긴 쪽지 file

  • 2013-09-06
  • 2013-09-06 15:07
  • 조회 수 3876
  • 추천 수 0

2.수정중 2006년에 "야심만만"이라는 강호동,박수홍 진행의 TV 프로그램에 나온 "한 마디"들 file

  • 2013-07-25
  • 2013-07-25 09:11
  • 조회 수 4502
  • 추천 수 0

2.수정중 남 덕보려 하는게 무능의 상징. 부부도 마찬가지. 법륜스님 주례사... file

  • 2013-07-24
  • 2013-07-24 10:29
  • 조회 수 5453
  • 추천 수 0

2.수정중 아이를 키우는 것이 아니라 아이와 함께 성장하는 것 file

  • 2013-07-24
  • 2013-07-24 11:42
  • 조회 수 3844
  • 추천 수 0

2.수정중 "바보들은 책속에서 몸에 맞지 않는 옷을 찾아 걸친다." file

  • 2013-07-11
  • 2013-07-11 11:45
  • 조회 수 4394
  • 추천 수 0

2.수정중 늙어갈수록 초라해지는 삶으로 가는 방법 file

  • 2013-06-02
  • 2013-06-02 13:15
  • 조회 수 4220
  • 추천 수 0

2.수정중 윤리관을 강조한 아름다운 디자이너 빅터 파파넥 file

  • 2013-04-16
  • 2013-04-16 11:58
  • 조회 수 9780
  • 추천 수 0

2.수정중 멘토의 의미, 나 빼고 대부분 오용하고 있다면? file [37]

  • 2013-04-10
  • 2013-04-15 10:02
  • 조회 수 3361
  • 추천 수 0

2.수정중 자이언효과 : 나쁜 놈이 아주 간혹 착한 짓 하면 대박나는 이유? file [4]

  • 2013-03-22
  • 2013-04-03 13:41
  • 조회 수 5791
  • 추천 수 0

2.수정중 낸시랭에 의해 "귀여운 변씨"가 되어버린 변희재. 자세히 들여다보기 file

  • 2013-03-05
  • 2013-03-05 10:57
  • 조회 수 4646
  • 추천 수 0

2.수정중 스프링 or 코일이론 Coil theory : 사람을 입체적으로 판단하는 방법 file

  • 2013-02-21
  • 2014-02-20 13:41
  • 조회 수 4064
  • 추천 수 0

2.수정중 "정청래의 11가지 좋은 대화법"을 읽다가... file

  • 2013-02-21
  • 2013-02-21 10:35
  • 조회 수 4906
  • 추천 수 0

2.수정중 家和萬事成 그리고 최고의 가치로서의 가정과 그 수단으로서의 조직에 대한 소고 file

  • 2013-02-20
  • 2013-03-27 13:15
  • 조회 수 5259
  • 추천 수 0

2.수정중 망하는 이유, 반론과 변명, 잘 되야하는 절박함이 성공을 보장하지는 않으며 오히려 방해한다. file [41]

  • 2013-02-15
  • 2013-02-15 11:44
  • 조회 수 5849
  • 추천 수 0

2.수정중 침묵은 경멸을 나타내는 가장 완벽한 표현이다. file [1]

  • 2013-02-13
  • 2013-02-13 10:03
  • 조회 수 5394
  • 추천 수 0

2.수정중 안철수 대선 출마 선언 연설과 기자회견을 보고 들은 후 그를 정의하여 본다. file [324]

  • 2012-09-19
  • 2012-09-19 22:47
  • 조회 수 10625
  • 추천 수 0

2.수정중 명현 [瞑眩]현상, 혹은 호전반응? 요즘 주위 분위기가... [12]

  • 2012-07-24
  • 2012-07-24 14:10
  • 조회 수 6840
  • 추천 수 0

2.수정중 안철수, 힐링캠프 어록 자막 캡쳐본...대선관련 스포일러 있음! ㅋ file [12]

  • 2012-07-24
  • 2012-07-24 10:29
  • 조회 수 7366
  • 추천 수 0

>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