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아반테HD에 제품장착-프로비아 Pro40T

프로비아 Pro40T를 태극이의 차량인 아반테HD에 장착을 하였습니다.


기본적인 블랙박스의 위치는 롬밀러를 기준으로 그 주변에서 차량의 사용환경에 맞게 선택을 하면 됨니다.

장착위치선정을 하였으면 어떻게 사용을 할것인가를 생각하셔야 합니다. 왜냐면, 전원선의 처리과정이 

필수적으로 따라가기 때문에 시가짹을 사용할 것인가? 3선상시전원을 사용할 것인가?로 결정을 해야겠지요.


다행인 것이 본제품의 기본품목에 3선상시전원케이블이 있지만, 시가짹케이블은 별매품으로 판매를

 하기에 어찌보면, 괜한 생각을 하라고 할 수도 있습니다.


4-1. 청소


▲프로비아 Pro40T 블랙박스를 부착할 위치의 이물질등을 제거하기 위하여 

수건에 유리청소액을 조금 묻혀서 깨끗하게 닦았습니다.


4-2. 상시전원케이블의 매립구상


▲프로비아 Pro0T4의 전원선은 퓨즈박스에서의 작업과 A필려를 이용합니다.  

▲프로비아 Pro40T 전원선은 A필려의 플라스틱커버의 공간을 거쳐서 천장재까지 나와야 합니다. 

▲프로비아 Pro40T의 전원선은 전면유리와 천장재 사이의 틈새로 감춰질것입니다.  


4-3. 후방카메라의 연결 동축케이블의 매립구상

 

▲후방카메라의 동축케이블은 본체에서 연결된 이후에 천장재 틈새를 이용하여 A필려까지 매립을 합니다. 

▲앞 뒷문의 문틀 고무몰딩을 탈거하고, B필려 상부의 틈새로 동축케이블이 지나가게 할것입니다.

B필려를 관통한 동축케이블은 C필려까지 매립을 하고 뒷유리의 중앙에 부착을 할 생각입니다.


4-4. 본체를 부착한다.


체험단에 지급하여 주신 시가잭전원케이블을 한번정도는 사용하여 보기로 하여

프로비아 Prp40T 본체의 위치를 잡고, 장착하는 과정에 사용하여 보았습니다.

시가잭전원케이블로 본체를 부팅하니, 자동주차모드로 전환이 안 이루어지더군요. 리뷰작성을 위하여 제품의 

기능을 살펴볼려고 가정용아답터로 부팅을 시켜보았을 때, 부팅이후에 금방 자동주차모드로 전환을 위하여

 자동부팅이 되었는 데, 차량에서 부팅을 하여보니, 그대로 상시녹화모드로 유지가 되었습니다. 


두가지 조건을 충족시켜야지 자동주차모드로 전환이 되나 봅니다.

- 일정전압이하로 전압이 체크되면, 자동주차모드로 조건 충족.

-ACC의 전류가 체크가 안되면, 자동주차모드로 조건 충족. 


롬밀러부근의 전면유리에 부착을 하면서 그만, 롬밀러의 각도가 틀어진 걸 미리 파악하지 못하고, 

부착을 하고, 보니, 롬밀러를 사용하는 데, 방해를 받아서 다시 부착하기로 하고,

조심히 뜯는다고 하였는데, 어찌나 접착력이 강하여, 결국은 재사용할 여력도 없이 포기하고,

 가지고 있는 갈색양면테이프를 사용하여 마무리를 하였습니다.

위치가 처음의 자리보다 조금 아래로 내려왔습니다.

▲외장GPS를 그물무늬가 있는 유리상부에 부착을 하였습니다. 수신은 잘 됨니다.


4-5. 3선상시전원케이블 작업하기


주차모드를 사용하기 위하여, 필연적으로 3선상시전원케이블을 사용하여야 편합니다.

상시전원케이블의 퓨즈연결 작업은 어려운 것이 아니기에 차량동호회에서 찾아보시면 금방 

관련정보를 찾을 수 있으며, 기타 여러가지 매립에 관한 정보도 습득할 수 있습니다.

▲상시전원케이블의 퓨즈연결에 필요한 도구들입니다.

▲차량의 문틀의 고무몰딩은 사진처럼 당기면 쉽게 이탈이 되고, 조립은 반대로 끼워서 살살 쳐주면 고정이 됨니다.

▲퓨즈박스의 커버를 완전히 탈거허기 위하여 고무몰딩을 쭉 당겨놓습니다.

▲플라스틱 재질에 상처가 나지 않게 플라스틱 스틱으로 홈에 끼워서 제끼면 탈거가 됨니다.

차량에 여러종류의 전자제품을 사용하기에 박스안이 전원선들로 복잡하긴 합니다.

퓨즈는 기본적으로 +전류가 흐르며, 단선이 되면, 해당전자장치는 +전류를 공급받지 못하여 작동이 

멈추거나 사용이 안되는 원리이므로 전류가 들어 오는 측과 나가는 측이 존재하게 됨니다.


아반테HD는 퓨즈슬롯의 오른연결부분이 전류가 나오는 측이고, 반대인 왼연결이 나가는 측이되는것입니다.

가능하면, 순정부품이 아닌 경우에는 과전류로 퓨즈가 끊어지면 전류가 차단이 되게

전류가 나가는 왼슬롯 연결부분의 퓨즈다리에 걸어주어야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모든 차량의 퓨즈박스커버의 안쪽면에는 사진과 같은 퓨즈배치도가 있습니다.

간단한 차량용 전자제품을 설치할 경우, 시가짹보다는 퓨즈박스애서의 작업이 깔끔하게 작업이 됨니다.

아반테HD의 ACC은 시가라이터퓨즈이고, 상시전원은 정지등퓨즈입니다. 

시가라이터 외에도 시동을 걸어야만, 전류가 흐르는 퓨즈는 전류체크기로 퓨즈슬롯을 체크하여 찾아야 합니다.

정지등이 상시전원이지만, 요즘 최신차량들은 자체적인 배터리세이퍼기능이 강화되어 

차량동호회에서 정보를 얻든가, 전류체크기로 퓨즈슬롯을 체크하여 찾아야합니다.

▲기본적으로 차량의 차체는 -전류가 흐르기에 접지를 하기 위해서는 차체에 연결된

볼트 또는 나사에 연결하면 됨니다. 보통차량의 볼트는 10밀리크기를 사용합니다.

퓨즈는 갈수록 작아지면서 요즘 신형퓨즈는 말그대로 미니퓨즈라고 알려졌으며,

사진과 같은 중간정도의 퓨즈는 퓨즈다리에 감아서 해당퓨즈슬롯에 끼우면 되고,

미니퓨즈는 감을 퓨즈다리가 없기에 바로 퓨즈다리부분에 해당하는 전체를 감아서 슬롯에 끼우면 됨니다. 

▲퓨즈집게가 있으면 사용하기도 하지만, 롱로우즈로 찝어서 뽑거나 끼울때 편합니다.

▲꼭, 상시와 ACC를 확인하고, 전선의 색으로 판단하는 오류를 하지않으셨으면 합니다.

▲접지는 차체와 연결되는 볼트 또는 나사부분에 연결하면 되고,


한가지 블랙박스의 상시전원관련 팁으로 주차모드를 지원하는 블랙박스의 사용에서 

주행용 상시촬영모드로만 사용하고 싶을 경우에는 접지를 제외한 ACC선과 b++(상시전원)선을 

같이 묶어서 ACC퓨즈에 물려주시면 주행용상시촬영모드로만 사용이 가능합니다.  


4-6. 전원선의 매립(케이블 통과 및 고정하기)


▲A필려는 고리와 고정핀으로 고정이 되기에 사진처럼 벌려주면 탈거가 됨니다. 

A필려하간부분에 대시보드와의 고정고리부분이 있기에 조심스럽게 하지않으면 부러지기도 합니다.   

▲프로비아 Pro40T의 전원선을 차량의 빈공간을 이용하여 A필려 하단으로 뽑아내서 

본체에 연결하여 정상적으로 퓨즈박스에서의 작업이 되었는지 확인을 하고,

▲전원선의 남는 부분은 천장재의 틈새로 감추면서 A필려상부까지 매립을 합니다.

▲대부분의 차량은 천장재의 틈새라는 공간이 있기에 공간을 활용하여 전원선과 후방용케이블을 감추면 됨니다.  

전면유리에 부착되어 있는 프로비아Pro40T의 본체모습입니다.


4-1. 후방카메라 연결하기


프로비아Pro40T의 후방카메라 연결케이블은 동축케이블로 일반적인 케이블의 두께보다 

가늘어서 작업하기는 쉬운편으로 꺾어지지 않게 하여야 합니다. 

▲프로비아 Pro40T의 후방카메라 연결 동축케이블의 연결짹의 구경이 다르니 조심해야합니다.

▲B필려를 관통하는 작업도 동축케이블이 가늘기때문에 쉽게 하였습니다.

▲B필려상부와 천장재가 만나는 부분에 사진처럼 후방카메라 연결 동축케이블을 밀어넣으면 잘 매립이 됨니다. 

▲후방카메라의 부착위치는 후방유리의 최상부 또는 리아커튼의 영향이 적은 부분에 부착을 하여도 되지만,

가능하면, 유리의 최상부나 살짝아래부분에 부착을 하는 것이 케이블매립작업에도 수월하고,

촬영각도의 확보에도 유리한 점이 있습니다.

▲프로비아 Pro40T의 후방카메라는 차량의 뒷유리 상부중앙에 부착을 하고, 

후방카메라케이블을 연결하였으며,  

▲후방카메라의 촬영각도 조절은 본체의 3.5인치 LCD의 단독 후방영상을 보면서 촬영각도를 조절하였습니다.

▲후방카메라를 연결하고 케이블은 역시 후방천장재의 틈새를 활용하여 C필려까지 매립을 합니다. 

▲남는 후방카메라 동축케이블을 C필려 커버의 안쪽공간에 넣어서 정리를 합니다. 

▲후방카메라의 동축케이블을 정리하고, 깔끔하게 정리된 C필려 모습

▲퓨즈박스와, A필려, 문틀고무몰딩을 모두 원위치로 하여, 정리를 하니 깔끔합니다.

▲실내도 A필려부분도 언제 작업을 한 것인지 모를정도로 깨끗합니다..


이상으로 아반테HD에 전후방 각각 HD영상에 30프레임으로 녹화를 하는 프로비아 Pro40T의 장착기를 마칩니다.



 본 게시글은 [프로비아 Pro40T]체험단으로 선정되어 작성되는 체험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