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yle type="text/css"> </style>

 아이나비 내비게이션 제조사인 '팅크웨어'에서 주최한 아이나비메이트 체험단에 당첨이 되어 활동하게 되었습니다. 체험단은 2011년 1월 하순에 선보일 예정인 아이나비 맵 버전을 미리 체험하고 그에 대한 미션을 수행하여야 합니다. 그에 대한 1주차 미션으로 아이나비 매니저 체험미션을 올리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저는 아이나비3D 맵을 사용하는 아이나비 K7 기종 사용자입니다.

 

저는 본래 아이나비매니저 보다는 수동업그레이드를 선호했던 사람입니다. 미션이 미션이다보니 그리고 2011년 1월 베타 버전을 다운로드 받기 위해서는 아이나비매니저를 사용해야만 하니까요. 오직 체험단에게만 다운로드가 가능하도록 되어 있습니다.

 

 

상기 화면은 아이나비 매니저로 로그인한 모습입니다. 보시다시피 맵과 펌웨어 및 각종 컨텐츠 다운로드를 통합해서 제공하는 프로그램입니다. 팅크웨어에서 블랙박스를 출시하면서 블랙박스 업그레이드 기능도 아이나비 매니저에 통합되어 있습니다. 부가 기능으로 데이터 관리와 사진 편집 기능이 눈에 띄네요.

 

저는 중급자 권장을 선택해서 업그레이드를 받았습니다. 중급자라고 해서 별다른건 없고 몇가지 클릭 몇 번 더 할 수 있는 차이입니다.

 

 

제가 사용하는 기종인 k7이 보입니다. 제품 시리얼은 그림판 신공으로 지워서 보실 수 없습니다 ^^

지도데이터 버전을 보시면 10.12a.3d50-메이트라고 선택되어 있습니다. 2011년 1월 하순에 공개될 지도로서 아이나비 메이트 체험단들을 위한 버전이지요.

참고로 자동백업 기능 사용을 체크해두셔야 합니다. 그래야 메모리카드에 있는 사용자 데이터가 삭제되지 않고 보존됩니다. 예를 들면 MP3나 동영상 같은 그런 사용자 개인 파일들을 메모리카드에 보존하려면 꼭 체크해두는 센스가 필요합니다.

 

 

이제 업그레이드 시작을 클릭하면 본격적인 업그레이드 버전 다운로드에 들어가게 됩니다.

 

 

메모리카드는 아이나비 정품 메모리카드 대신에 트랜센드 16GB Class6 를 사용해서 업그레이드를 받는 중입니다. 저의 경험이지만 아이나비의 경우 간혹 정품 메모리카드에 이상이 있는 경우 내비게이션이 다운되거나 오류 발생 메시지 표시 또는 메모리카드 인식을 하지 못하거나 화면의 백화현상이 발생하는 경우가 간헐적으로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증상을 몇 번 경험하게 될 경우에 메모리카드를 다른 것으로 바꿔서 테스트해보실 필요가 있습니다. 제 경우에도 아이나비 정품 메모리카드 사용시 잦은 문제를 겪어서 트랜센드 제품으로 맵을 다운로드 받아 사용해본 후로는 그런 문제들을 거의 겪지 않고 있습니다. 주의하실 점으로는 내비의 다운 현상이나 오류 발생 메시지 등은 메모리카드 불량이 아닌 맵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버그로도 그럴 수 있습니다.

따라서 메모리카드를 다른 것으로 대체해서도 동일 문제가 생길 경우 프로그램의 문제인지 확인해보실 필요도 있습니다. 

 

 

상기 화면은 펌웨어를 다운로드 받는 모습입니다. 1월 업그레이드 버전은 어플리케이션과 맵데이터만의 버전업이 아니라 기기의 펌웨어도 버전업이 됩니다.

맵과 펌웨어 모두 간단하게 업그레이드를 받아서 3D 지도 업그레이드 인증까지 모두 무사히 마쳤습니다.

참고로 아이나비3D 제품을 사용하시는 분들의 경우에 AS를 받아서 기판 교체를 받으신 경우에는 업그레이드를 받으려고 할 때에 제품 인증이 되지 않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럴 때에는 PC에서 메모리카드의 Device.uid 파일을 삭제해주신 후에 메모리카드를 내비게이션 슬롯에 삽입하고 부팅을 해주시면 새로운 Device.uid이 생성됩니다. 이렇게 Device.uid이 새로 생성되면 교체된 기판의 정보가 갱신됩니다. 그러면 제품 인증을 다시 시도하시면 인증이 잘 될겁니다.

 

 

아이나비 매니저의 사진편집 기능과 데이터 관리 기능입니다. 간단한 사진 편집 작업이 가능하고, 메모리카드와 PC간의 파일 교환도 비교적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을 겁니다.

 

 

이상으로 아이나비 매니저 체험 미션을 수행했습니다. 참고로 아이나비 매니저로 3D맵 업그레이드를 받는데 광랜 환경에서 25~30분 정도 걸립니다. 클릭 몇번으로 매니저가 알아서 해주니까 편리하기는 합니다만 기다리기는 좀 지루하죠. ^^;

 

.


<script type="text/javascript"> </scrip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