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디지털 노마드족이 선택한 내 손안의 작은 세계 '블루핀'
-출처 : (주)티노스-
㈜티노스에서는 이달 말부터 한층 업그레이드된 PMP(portable multimed! ia player / 휴대형 멀티미디어 재생기) “블루핀( )” 을 선보인다.
대부분의 PMP가 디자인보다 기능을 중시했다면 블루핀은 디자인과 기능 ! 두 마리 토끼를 잡아 출시 전부터 그 인기가 높다. 파란 바다를 연상시키는 로고는 스테이셔너리 전? ?/SPAN> 디자인 스튜디오인 Kelita & co(캘리타앤컴퍼니)의 아티스트들에 의해 제작되었고 핫핑크, 블랙, 오렌지 등에 이르는 비비드하면서 고급스러운 색상은 그 세련미를 더하여 외관을 완성하였다.
무엇보다 IT계의 얼리어답터들을 열광시킬만한 블루핀만의 강점은 Window CE 5.0을 기반으로 하여 워드, 엑셀 등 본인이 원하는 수많은 프로그램들을 필요에 맞게 설치할 수 있다는 점이다. 또한 이제는 MP3만으로도 영화와 음악듣기를 할 수 있는 시대이다. 블루핀의 PMP는 이에 만족하지 않고 인터넷, 이메일, MSN 메신저는 물론 이동식 하드로도 사용 가능하게끔 개발하였다! . 내장된 카메라로 사진을 찍어 바로 싸이월드와 블로그로 전송 가능하며 키보드를 달면 꼬마 Sub-notebook으로 사용 가능하다. 그 작아 보이던 노트북도 커 보이는 순간이다. 4.3인치 와이드 화면으로 즐길 수 있는 무한한 즐거움은 TV와 연결하면 대형화면으로 변신하고 위성 DMB 내장으로 더 이상의 심심함은 없다.
무선 인터넷은 물론 최고의 네비게이션 매피, 위성 DMB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기능으로 내 손 안에 작은 세계를 이루는 블루핀과 함께 언제 어디서나 즐겁고 지루하지 않는 시간을 보내는 것은 어떨까.
*개발자리뷰
>>- 왜 '센터 스크린 방식'을 채택했나요 ^>
포터블 기기니까 사이즈를 최소로 해야 합니다. 그러려면 좌측에 화면, 우측에 버튼을 배치하는 것이 구조적으로 최선입니다.
이것은 아주 쉬운 접근 방법입니다. 그래서 대부분의 PMP 제품들이 이 방법을 채택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20년 가까이 방송 프로듀서로서 화면과 함께 한 경험상 화면을 중앙에 위치시키는 센터 스크린 방식은 절대로 양보할 수가 없었습니다.
우리가 보는 영화관이나 오페라 홀은 모두 무대가 중앙에 위치하며 좌우 대칭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그 이유는 이 방식이 시각적으로 안정감을 주며 좌우 음향이 전달되는 거리를 동일하게 유지하여 최상의 음향을 제공해 주기 때문입니다.
객석 중앙이 로얄석이라고 불리우는 이유도 바로 이 때문입니다.
우리는 '블루핀'을 사용하는 모든 고객들에게 항상 로얄석에서 컨텐츠를 즐길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고객 모두에게 로얄석을 제공한다"는 신개념의 생활 방식을 창조하는 것이 우리의 목표입니다.
다른 PMP의 경우 전체적인 사이즈를 줄이기 위해 로얄석에서 감상해야 하는고객들의 원초적인 권리를 희생시키고 있는 것입니다.
블루핀은 중앙에 스크린을 배치하는 센터 스크린 방식이면서도 좌우 베젤을 슬림하게 디자인하여 131mm라는 최소 폭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 사이즈는 화면이 한쪽으로 치우쳐 있는 PMP들 보다도 오히려 작은 사이즈 입니다.
그러면서도 전면에 방향 키를 배치하여 조작의 편리함까지 제공하고 있습니다.
좁은 베젤 안에서도 방향키를 중앙에 배치하여 세련된 느낌을 주고 있습니다.
또한 센터 스크린 방식으로 좌우 대칭을 유지하면서도 상하 베젤의 경우 오히려 아래쪽을 넓게 디자인하여 편안하고 안정적인 느낌을 줍니다.
>>- 왜 Windows CE 이어야 합니까 ^>
>>- 휴대형 4.3 인치가 주는 감동의 크기는 얼마일까 ^>
>>- 와이드 화면 보다는 4:3이지만 VGA급이 좋지 않은가 ^>
>>- 잭 하나를 배치할 때도 많은 신경을 쓴 것 같은데, 어떤 목적으로 위치를 정했는지 ^>
이어폰 잭이 위쪽이나 아래쪽에 배치된 MP3를 사용해보면 이어폰 줄이 방해가 되고 파우치에 넣기가 불편합니다.
잭이 구부러진 이어폰을 사용하면 불편함이 줄지만 이어폰 선택의 폭이 줄어드는 단점이 있습니다.
블루핀은 이어폰 단자를 왼쪽 면에 배치했습니다.
블루핀은 왼쪽면 위쪽에 이어폰 잭을 배치하여 양 손으로 기기를 잡았을 때에도 이어폰 줄이 방해되지 않습니다.
영화 시청이 아닌 음악 감상시에는 파우치에 넣고 다닐 수 있어 편리합니다.
비디오 잭과 전원 잭은 하단에 위치해 있습니다.
크레이들을 TV 위에 올려놓고 TV와 연결해 놓으면 크레이들에 블루핀을 꽂는 것만으로 대형 TV로 즐길 수 있습니다.
충전 역시 블루핀을 크레이들에 꽂는 것 만으로 시작됩니다. 일일이 연결선을 찾아 끼우는 불편함에서 해방시켜 드립니다.
USB 단자는 우측 중앙에 있습니다. 기기를 세로로 장착했을때 USB 케이블을 아래에서 끼워 깨끗하게 처리할 수 있습니다.
>>- 다양한 충전 방식을 제공하던데 어떤 것들이 있습니까 ^>
블루핀은 DC 어댑터 충전, USB 충전 이외에 표준 24핀 휴대폰 충전기를 사용하여 충전할 수 있습니다.
전용 충전기가 없을 곳에서도 주변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USB 케이블이나 휴대폰 충전기로 충전이 가능합니다.
전용 충전기를 사용하면 고속 충전을 하면서 시청할 수 있습니다.
*동경로드쇼
= AMD 미팅 =
>>- WinCE면 PDA처럼 자유롭게 프로그램 설치가 가능합니까 ^>
PDA도 프로그램 설치가 자유로운 것은 아닙니다.
PDA에 설치하는 프로그램은 OS의 종류, 버전, 그리고 CPU가 맞아야 동작합니다.
블루핀은 OS의 종류-WindowsCE, 버전-5.0, CPU=MIPS II 입니다.
위 3가지 조건이 일치하지 않을 경우 해당 프로그램의 호환성 여부는 테스트를 해 보아야 알 수 있습니다.
>>- 오픈 소스 ^>
블루핀은 많은 부분을 공개하여오픈 소스로 진행할 예정입니다.
블루핀은 다양한 소프트웨어/컨텐츠 공급자들과 함께 발전하고자 합니다.
각 분야에서 뛰어난 업적을 가지고 있는 전문 소프트웨어/컨텐츠 회사들과 수익 모델을 개발하여 소프트웨어/컨텐츠 개발을 활성화하려고 합니다.
그렇게 하여 다양한 소프트웨어/컨텐츠를 개발하여 블루핀스 여러분의 선택의 폭을 넓혀드리고자 합니다.
>>- 네비게이션 ^>
네비게이션 포트가 장착되어 있어 저렴한 RS232C 방식 외장 GPS를 연결할 수 있습니다.
뚜벅이(?)를 위한 SD카드 타입 GPS도 장착하실 수 있습니다.
시장이 커지고 자연히 모델이 다양해지면 내장형도 출시될 겁니다.
네비게이션 소프트웨어 등 주요 프로그램은 해당 전문 업체와 제휴하여 블루핀에 적합하도록 만들어져 탑재 또는 판매될 예정입니다.
>>- 센터스크린 ^>
스크린이 기기의 중앙에 위치하여 좌우 대칭이 맞는 디자인을 말합니다.
PSP의 경우가 대표적인 예인데, 대부분의 PMP는 PSP보다 폭이 좁은 대신 스크린이 좌측으로 치우쳐져 있습니다.
블루핀은 기존 기기들보다 크지 않는 사이즈에서 스크린을 중앙에 위치시키는 센터스크린 디자인을 완성하여 영상 감상시 편안한 느낌을 제공합니다
>>- DMB ^>
지상파 DMB는 지원합니다. DMB 내장형 모델 또는 외장 DMB 튜너를 추가한 모델 형태로 출시될 예정입니다.
시장 상황에 따라 계획은 바뀔수 있지만 현재까진 위성 DMB는 지원 계획에 없습니다.
>>- 블루투스 ^>
블루투스 폰이 판매되고 있습니다.
그런데 폰 값이 50만원을 넘고 블루투스 폰인데도 헤드셋이 기본이 아니고 옵션으로 10만원이 넘어 많은 분들이 폰만 구입해서 사용하고 계십니다.
블루투스 주변 기기가 저렴해지고 필수품이 되면 국내에서도 출시하겠습니다.
몇 분을 위해서 할 수 없음을 용서해 주세요.
>>- 휴대폰 음성 통화 기능 ^>
해외로 출시되는 일부 모델엔 휴대폰 기능도 탑재됩니다.
국내용 모델에서는 계획이 없습니다.
대신 중장기적으로 WiFi가 채택된 모델에서 VoIP 를 제공할 예정입니다.
>>- USB 호스트 ^>
USB 2.0에는 High Speed(480Mbps), Full Speed(12Mbps), Low Speed가 있습니다.
블루핀은 High Speed를 지원합니다.
USB에는 PC같은 호스트, 마우스같은 디바이스, 그리고 호스트없이 통신 가능한 OTG(On The Go)가 있습니다.
블루핀은 호스트, 디바이스, OTG 모두 지원합니다.
>>- 배터리 사용 시간 ^>
블루핀의 첫 모델은 출퇴근 시간 이외엔 항상 전원을 확보할 수 있는 분들을 고려해 휴대성에 중점을 두었습니다.
출근전 충전, 퇴근전 충전을 염두해두고 3~4시간의 연속 재생을 확보하도록 설계했습니다.
차기 모델에서는 2시간 이하의 모델이나 6시간 이상의 모델도 검토해 보겠습니다.
>>- 배터리 - 내장형, 착탈식, 아니면 범용 ^>
내장형 배터리는 기기를 얇게 만들 수 있는 장점이 있어서 기본적인 사용 시간을 충족하는 기기에 적합합니다.
배터리 수명이 다하면 상대적으로 저렴한 가격으로 배터리를 교체할 수 있습니다.장시간 사용이 필요할 경우에는 범용으로 판매하는 휴대형 배터리를 사용해서 사용 시간을 연장할 수 있습니다.
이 범용 배터리는 휴대폰이나 게임기등 다른 기기와도 호환되므로 다용도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착탈식 배터리는 여러 개를 가지고 다니면서 필요할 때 마다 교환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반면 기기가 두꺼워지고 배터리 가격이 상승하며 추가 비용으로 구입한 배터리가 다른 기기와는 호환이 안되는 단점도 있습니다.사용자의 사용 패턴이 항상 여러 개의 배터리를 가지고 다녀야 할 정도라면 기기 자체의 기본 배터리가 이 용량으로 설계되어야 합니다.
>>- 카메라는 왜 있는가 ^>
화면 크기가 폰 카메라는 2인치, 디카도 커봐야 3인치 근처 입니다.
블루핀의 카메라 화면은 4인치입니다.
메모리 염려없이 마음놓고 찍어도 되고.
찍은 사진을 4인치 화면으로 친구들에게 보여줄 수도 있고...싸이월드 한 사이트에 하루 동안 올려지는 사진이 600만장이 넘습니다.
예전과 다른 생활 방식으로 살아가는 사람들이 꽤 많이 생겼다는 수치로 여겨집니다.
앞으로 더 늘면 늘었지 줄지는 않을 것으로 보입니다.
>>- TV 녹화는 안되는가 ^>
전세계에서 판매되는 VCR의 90%가 녹화 기능이 있는 고사양 제품입니다. 구매시에는 다양한 기능이 구매력을 자극하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이 90%의 VCR중 녹화용으로 활용되는 제품은 5% 미만입니다. G 코드니 하는 다양한 방식이 소개되었지만 녹화 빈도는 별로 향상되지 못했습니다.
튜너와 예약 녹화 기능이 있는 VCR의 현실이 이러할진데 튜너가 내장되지 않은 PMP에서 레코딩 기능은 의미가 없다는 생각입니다.
PMP를 TV나 TVR에 연결해야 하고 해당 채널을 선택해서 켜 놓아야만 레코딩이 가능합니다.
레코딩은 TV 수신 카드를 사용하시던지 미디어 센터 PC를 사용하기기 바랍니다.
아주 저렴한 가격으로 몇 배나 편하고 다양한 기능을 즐기실 수 있습니다.
>>- AV IN 은 안되는가 ^>
AV IN은 다른 기기에서 영상을 받아서 PMP의 LCD로 보여주는 기능입니다.
PMP의 대형 LCD를 이용해서 영상을 감상할 수 있기 때문에 유용한 기능이기는 하나
구현하려면 애널로그 비디오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해주는 변환 하드웨어가 필요합니다.
이 변환 하드웨어가 있으면 결국 TV 녹화도 가능합니다.
사용 빈도에 비해 시스템의 복잡도가 증가하므로 비용이 상승하는 단점이 있어 지금의 블루핀에서는 지원하지 않습니다.
기술이 발전하여 이 추가 하드웨어가 쉽고 저렴하게 구현되면 추가될 예정입니다.
>>- HSDPA vs. WiBro ^>
HSDPA : 최대 속도 14Mbps, 현재 설계 속도 1.8Mbps. 실제 예상 속도 1Mbps.
향후 목표 2007년 7.2Mbps, 2008년 14Mbps.WiBro : 최대 속도 20Mbps, 실제 예상 속도 1Mbps.
위의 실제 예상 속도는 기지국 내에 1개의 단말기만 있어서 네트웍을 혼자서 사용할 경우의 속도입니다.
>>- MS DRM10 ^>
Microsoft Digital Right Management 10 for Portable Devices.
Janus DRM이라고도 불리는 MS사의 디지털 저작권 관리 방식.
컨텐츠 전송 프로그램으로 윈도우즈 미디어 플레이어를 사용하고
전송 프로토콜로 MTP(Media Transfer Protocol)를 사용한다.
참고) 애플 iPod는 FairPlay라는 DRM을 사용하며 컨텐츠 전송 프로그램으로 iTunes를 사용한다.
>>- NetSync DRM ^>
(주) 잉카 엔트웍스에서 제공하는 DRM
메가스터디, 에듀조선 등에서 사용한다.
>>- XSync DRM ^>
(주)마크애니 에서 제공하는 DRM
MP3 기계에 무료로 제공된다.
>>- 메가스터디 동영상 ^>
16:9 비율, 400kbps, WMV9 형식
*사양
>>- 외형 ^>
색상 : 블랙, 핫핑크
크기 : 131 x 73 x 24 mm
무게 : 245g ( 카메라, 배터리 포함 )
>>- OS ^>
윈도우즈 CE 5.0 프로페셔널 플러스
참고) Windows CE에는 3가지 버전이 있습니다.
- Core : OS 기능만 있는 최소한의 버전
- Professional : 미디어 재생, 인터넷 탐색기 등이 들어간 기본 버전
- Professional Plus : MS Office 뷰어가 들어간 최상위 버전
>>- CPU ^>
AMD Au1200 - 하드웨어 미디어 가속 엔진 탑재, WMV9 지원
참고) WMV9 재생 능력
DM320 CPU를 사용한 제품들은 320x240 WMV9을 지원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Au1200 CPU는 720x480 WMV9을 지원합니다.
>>- 메모리 ^>
DDR2 128MB (DDR:Double Data Rate)
참고) 메모리에는 3가지 종류가 있습니다.
- SDRAM : PDA에서 많이 사용되는 메모리 입니다.
- DDR1 : SDRAM의 2배 속도 입니다.
- DDR2 : DDR1의 2배 속도이며 소비전력이 30%정도 적습니다.
>>- 디스플레이 ^>
크기 : 10.9cm ( 대각선 길이, 4.3인치 )
화면비율 : 16:9 와이드
해상도 : 480 x 272 픽셀, WQVGA
표현 색상수 : 1600만 컬러
방식 - color active matrix TFT(Thin Film Transistor) liquid crystal display(LCD)
터치스크린 : 클리어 타입
>>- TV 출력 ^>
NTSC, PAL
S-Video
HDTV(480p, 720p)
>>- 오디오 출력 ^>
헤드폰 출력 - 45mW
내장 스피커 - 400mW
>>- 카메라 ^>
화소수 : 200만 화소
해상도 : 1600x1200 픽셀(UXGA)
방식 : DigitalClarity CMOS Imaging Technology
>>- 내장 HDD ^>
용량 : 30GB (Built-in)
방식 : 1.8인치, 4,200rpm
>>- USB ^>
규격 : USB 2.0 하이스피드, OTG 지원
속도
- USB 호스트 : 480 Mbps 하이스피드
- USB 디바이스 : 480Mbps 하이스피드참고) USB 장치는 호스트, 디바이스, OTG(On the Go) 규격이 있습니다.
- Host : 블루핀을 컴퓨터처럼 사용하는 방식
블루핀에 키보드, 마우스, 조이스틱, 외장 HDD 등을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Device : 컴퓨터에 블루핀을 외부 기기로 연결하는 방식
블루핀을 30GB 외장 하드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OTG : 컴퓨터없이 블루핀과 OTG 호환 카메라, 프린터 등을 연결할 수 있습니다.
참고) USB 속도는 480Mbps 하이스피드, 12Mbps 풀 스피드, 1Mbps 로우 스피드가 있습니다.
- USB 2.0 이라도 Full Speed 기기의 경우 1/20의 속도인 12Mbps 밖에 지원되지 않습니다.
- 블루핀은 USB Host 모드도 480Mbps 하이스피드를 지원합니다.
>>- PC 연결 ^>
외장형 디스크
ActiveSync : PDA에서 사용하는 모드, 인터넷 사용 가능
MTP(Media Transfer Protocol) : DRM에서 사용하는 모드
>>- SD 슬롯 ^>
SD 메모리, SDIO WiFi, SDIO Bluetooth, SDIO GPS 등 사용
>>- 배터리 ^>
용량 : 2,800mAh
방식 : 리튬 폴리머
>>- 배터리 ^>
DC 어댑터, USB 케이블, 표준 24핀 휴대폰 충전기
참고 ) 충전 시간
- DC 어댑터는 1000mA로 충전하므로 고속 충전이 가능합니다.
- USB는 규격이 500mA로 제한되어 있으므로 충전 시간이 길어집니다.
- 휴대폰 충전기는 대부분 700mA 정도로 충전 시간이 길어집니다.
>>- 옵션 ^>
FM Radio (option, internal) : 76~108MHz
FM Transmitter (option, internal) : 76~108MHz
Wireless LAN(option, SDIO) : WiFi 11Mbps
GPS(option, Smart GPS) : SiRF III
윈도우즈 CE 5.0 채택 - 자유로운 프로그램 설치, 윈도우즈 메뉴 사용
>>- 센터 스크린 방식 ^>
LCD가 기기의 중앙에 위치하는 센터 스크린 방식이면서도 크기는 최소형
W=131mm, H=73mm, D=24mm, Weight = 245g (배터리, 디지털 카메라 포함)
>>- 디지털 카메라, 캠코더, 녹음기 ^>
200만 화소 디지털 카메라, 캠코더
녹음기 - 마이크 내장
>>- SD 슬롯 ^>
디카 SD 메모리 백업 장치 - 30GB
>>- 파일 읽기 ^>
MS 오피스 CE - MS 워드, 엑셀, 파워포인트, PDF
>>- 이미지 보기 ^>
MS 이미지 뷰어 - jpg, bmp
>>- 영화, 음악 감상 ^>
하드웨어미디어 가속 엔진 - WMV9, DivX, Mpeg
>>- 디지털 저작권 관리 ^>
MS DRM10
>>- 30GB HDD, SD Slot, USBOTG 2.0 ^>
>>- FM 라디오 (옵션, 내장형) ^>
풀 디지털 라디오
>>- FM 송신기 (옵션, 내장형) ^>
카 스테레오 수신용 FM 송신기 - 카팩 불필요
>>- 무선 인터넷 (옵션, 외장형) ^>
WiFi - 무선 인터넷, e메일
>>- 네비게이션 (옵션, 외장형) ^>
SiRF II or SiRF III
* 몽이아빠™님에 의해서 게시물 복사되었습니다 (2009-08-20 14:53)
여기선, "네비家 몽이아빠"
navikorea@gma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