몽이아빠 개인적인 일상다반사로 부터 얻은 영감, 깨달음, 가치관이라 할 만한 것들에 대해 소소히 정리하는 공간

매달 초 이달의 별자리 운세라는 메일이 온다. 별점이든 혈액형별 성격이든 과학적으로 근거가 없다는 것을 알면서도 어느새 나는 메일에 쓰여있는 내용에 무의식적으로 어떤 것은 조심해야 하고 어떤 것은 괜찮을지 머리에 담아두게 된다. 이것이 자기 충족적 예언(self-fulfilling prophecy)이 되어서인가 가끔 그 달이 지나서 나의 삶을 돌아봤을 때 맞는 부분도 있는 것 같다. 결국 이러한 현상을 심리학용어로 바넘 효과에 매몰되었다고 한다.



자기 충족적 예언. 바넘효과.



19세기 말 곡예단에서 사람들의 성격과 특징 등을 알아 내는 일을 하던 바넘(P.T. Barnum)에서 유래하였다. 1940년대 말 심리학자인 포러(Bertram Forer)가 성격 진단실험을 통해 처음으로 증명한 까닭에 '포러효과'라고도 한다.



포러는 자신이 가르치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각각의 성격 테스트를 한 뒤, 그 결과와는 상관없이 신문 점성술 난의 내용 일부만을 고쳐서 학생들에게 나누어 주었다. 그는 이 테스트 결과가 자신의 성격과 맞는지 맞지 않는지를 학생들이 평가하도록 하였다. 자신이 받은 테스트 결과가 자신에게만 적용되는 것으로 착각한 학생들은 대부분이 자신의 성격과 잘 맞는다고 대답하였다.



포러가 학생들의 성격 진단 결과로 나누어 준 점성술 난의 내용은, 대부분의 사람들이 가지고 있는 보편적인 특성을 기술한 것이다. 포러는 실험을 통해 보편적 특성을 개개인에게 적용할 때 사람들이 어떻게 반응하는가를 알아보고, 그 결과로 바넘효과를 증명한 것이다.



사람들은 보통 막연하고 일반적인 특성을 자신의 성격으로 묘사하면, 다른 사람들에게도 그러한 특성이 있는지의 여부는 생각하지 않고, 자신만이 가지고 있는 독특한 특성으로 믿으려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경향은 자신에게 유리하거나 좋은 것일수록 강해지는데, 이처럼 착각에 의해 주관적으로 끌어다 붙이거나 정당화하는 경향을 말한다.[출처] 바넘효과 | 두산백과



결국 점을 보러 가서 듣게되는 얘기들의 대부분은 나도 이미 알고 있는 것이다.내가 준 단서들로 심리분석에 정통한 그들이 나의 내면의 소리를 자신들의 입으로 해주는 것이다.그것을 듣기위해 복채를 내고, 그 복채는 점쟁이들을 더욱 내면에 가깝게 인도한다.



나의 내면의 소리에 귀를 기울이면 답은 내 안에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언제고, 내가 극도의 고민들로 스트레스를 받았을 때, Bar를 하던 친구네 가게에 자주 갔었다.그리고 최고의 "들어주기쟁이"인 내 친구는 그렇게 말 해주었다.



"너의 고민을 듣다보면 니가 답을 알면서 묻는 것 같다."



뒤통수를 한 대 얻어맞은 듯 한 그 한 마디.난 바로 인정.그럼에도 난 그 뒤로도 고민을 들어달라며 이야기하곤 했다.그 이유는, "이미 정리를 마쳤기 때문에 다른 시각에서의 조언을 참고하기 위해" 정도라고 해두자.



그랬던 것 같다. 나는...


1349842238225.jpeg


(올 해엔 사주 봐달라는 사람들이 별로 없네...체념인가 아니면, 낙관인가?) 

여기선, "네비家 몽이아빠"
navikorea@gmail.com

태그
첨부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날짜 최근 수정일 조회 수 추천 수
공지 3.탈고전 몽이아빠, 혼잣말 게시판 file 2012-06-02 2013-02-25 14:23 105701  
» 3.탈고전 바넘효과 [ Barnum effect ] : 누구에게나 적용될 수 있는 얘기를 대상을 한정하여 말하면 "용하다"고 착각한다. file [327] 2013-01-17 2013-01-17 12:39 9260  

>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