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PEG이란? 

TPEG란 교통정보 전송을 위한 국제 표준 프로토콜로, 지상파 DMB망을 이용한 텔레매틱스 서비스(다이나믹 네비게이션)를 의미 합니다.

이 서비스는 미리 저장된 지도상의 최단거리로만 안내하는 일반 네비게이션과 달리, 지상파DMB 데이터 채널을 통해 실시간으로 속도정보가 반영된 '지능형 길 안내'가 가능하며 위험지역정보, 사고정보, 맛집정보, 여행정보 등까지 제공합니다.


사전적 정의

Transport Protocol Experts Group의 약자로서, 1997년 설립된 EBU(유럽 방송 연합)의 전문가 그룹 약자이다. 
모든 교통 및 여행 정보 뿐 아니라 방송을 통해 전달하는 전송 규격을 개발하였으며, 여행자를 위한 교통, 돌발상황, 유고정보, 
주차장 등 위치 정보 등의 응용프로그램에 적용된다. By Wikipedia.org
TPEG(Transport Protocol Expert Group, 티펙)은 DMB 방송 주파수를 이용해 자동차 내비게이션 단말기에 실시간 교통 정보, 여행 정보 등을 보여주는 기술을 말한다. 원래는 유럽방송연맹(EBU) 산하 협회의 이름이자 이들이 만든 교통 및 여행정보를 전송하는 국제표준을 뜻하는 말이었다. 하지만 우리나라가 DMB에 이어 DMB를 기반으로 한 TPEG 상용화에 성공하면서 일반적으로 실시간 교통정보 서비스를 뜻하는 말로 굳어졌다. By Navercast
정보/컨텐츠
TPEG Live-updating Info.
혼잡교통정보
CTT : 주행 도로상에 평균 소통 상황을 네 가지 색상으로 구분하여 표출
CTT-Sum : 요약맵을 통해 광역 교통정보를 네 가지 색상으로 표출
안전운전정보
SDI : 과속단속지점 안내, 사고 다발 구간 등 각종 안전 운행에 필요한 정보(위치정보+내용)
유고정보
RTM : 사고, 속보, 시위, 집회, 공사 등 다양한 유고정보의 구체적인 위치와 내용 알림
관심지역정보
POP : 유가정보(OPI), 날씨정보, 맛집정보, 주차장정보, 등 유용한 여행자 관심지 정보(위치정보+내용)
 * 참고 - OPI : 주유소별, 유종별 가격 정보와 위치 정보를 가격순, 거리순으로 정렬하여 내비게이션을 통해 
바로 경로 안내 받을 수 있도록 제공


실제 내비게이션에선 이렇게 뜹니다.

001.jpg
(CTT 혼잡 정보가 표출된 내비게이션)



참고로, 전체 출시 단말기 제품 중, TPEG 적용 제품 비중은 지속적인 증가세에 있으며,
2012년 4월 현재 전체 모델에서 차지하는 TPEG 내비게이션의 비중은  84.2%에 달하고 있다.


tpeg.jpg



여기선, "네비家 몽이아빠"
navikorea@gma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