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각 방송사별로 TPEG이 여러 종류인데 어떻게 다르죠?


*최근 업데이트 된 내용은 다음 링크 참조 바랍니다.


http://naviga.co.kr/218751



[2014년, 4월 기준 최신 내용]----------------------------------------------------------------------------------------

구분

KBS

MBC

DTS
(2013년 8월, "디엠비티펙서비스"로 통합)

SBS

YTNDMB

교통정보
제공업체


SK플래닛 T맵 교통정보 사용 중(
기사 참고)

주요 내비게이션 브랜드

현대앰엔소프트, 씨앤에스링크, 현대모비스, 등

아이나비, SK플래닛 등
(more)

파인드라이브, 현대유비스 등

팅크웨어, 파인디지털, 아이머큐리제이씨현테크놀러지, LG전자 등(more)

지원맵

맵피, 지니, 아틀란

아이나비, 아틀란, 엔나비

아틀란, 지니

아이나비, 아틀란, 맵피, 지니, 루센, 루디, 엠피온

송출망

(기간국+간이국)

서울/수도권16151716
지역/광역시74
(비수도권 송중계시설 공동구축 협약)
66
(지역 민방통해 송출망 일치)

송출망 비교

2012년까지 KSB와 MBC가 먼저 확충되었으나, 2014년까지 YTNDMB, SBS 망 확대되어 수신권역 차이 미미함

사이트

http://tpeg.mozen.com
(문의 게시판 없음, 1:1문의만 가능)

http://www.mbctpeg.co.kr/

http://www.dmbtpeg.com
(통합 운영)

전용 콜센터

없음

1588-3414

1577-0054(통합운영)

[2012년, 4월 기준 업데이트 내용]----------------------------------------------------------------------------------------

구분

YTNDMB

KBS

MBC

SBS

교통정보
수집주체

서울,
광역시

동부NTS

동부NTS

SK M&C

동부NTS

수도권

동부NTS

동부NTS

SK M&C

동부NTS

고속도로

KT

도로공사

SK M&C

도로공사

국도

전국권 수집*(KT)
31개국도 업계 최다권역

일부 우회국도

일부 우회국도
(KBS보다는 많고 YTN보다는 적음)

일부 우회국도

주요 내비게이션 브랜드(2012년 현재 생산중인 브랜드)

팅크웨어, 파인디지털, 삼성내비게이션, 아이머큐리, 이센스테크놀러지, 제이씨현테크놀러지, LG전자

파인디지털, 씨앤에스링크, 현대모비스, 아이머큐리, 에스오씨, 테크나비, AP전자, 제이씨현

팅크웨어, SK M&C, 네오모텍, 유비퍼스트

...

지원맵

아이나비, 아틀란, 맵피, 지니, 루센, 루디, 엠피온

맵피, 지니, 아틀란

아이나비, 아틀란, 엔나비

아틀란, 지니

특장점

수집커버리지 국내 최다
(국도정보, 광역시 정보 최다)

송출망 넓음(6대광역시+@)
국도 취약(일부 우회만. SBS와 동일수준)

송출망 넓음(6대광역시+@)
수도권 국도망 확보

국도 취약(일부 우회만...KBS와 동일수준)
신규 증설 답보

송출망

전국 55개(수도권 14개, 지역 41개)
자세히보기

자료 없음

지방 25개 송신소(2010년 현재)
MBCTPEG 홈페이지 게재 내용

정보 없음
(YTNDMB와 같은 것으로 추정)

사이트

http://4Drive.co.kr
(게시판 비회원 열람 가능/ 공개 Q&A 게시판)

http://tpeg.mozen.com
(문의 게시판 없음, 1:1문의만 가능)

http://www.mbctpeg.co.kr/

http://www.sbstpeg.com/

전용 콜센터

1577-0054

없음

1588-3414

1544-5865

NAVIGA 선호도 조사 결과


* 각 내용은 2012년 4월을 기준으로 각 사 홈페이지 등 게재된 자료를 근거로 작성되었습니다.


[2011년, 1월 기준 업데이트 내용]---------------------------------------------------------------------------------------

TPEG 서비스도 출범한지 4년여가 지났습니다.

위의 내용 중 많이 달라진 것도 있어서 이 참에 정리해 올립니다.

욕만 바가지로 먹던 시절도 있었고, 맵에서 지원을 안해주니 쏘는 전파만 무성했떤 적도 있었고, 또 나름 유용한 유가정보나 부가서비스 덕에 칭찬을 듣기도 했으며, 전반적으로 수준이 대동소이하게 올라왔다는 평가도 있었습니다.

TPEG 나름 본전 뽑고 있다는 생각인데, 다른 분 답변드리다가 FAQ로 구성해보고자 정리해봤습니다.

구분

YTNDMB

KBS

MBC

SBS

교통정보
수집주체

서울,
광역시

동부NTS

동부NTS

SK M&C
(일부 Rotis, 동부NTS)

Rotis

수도권

동부NTS
(최다)

동부NTS
(최다)

SK M&C

Rotis

고속도

KT

도로공사

SK M&C

도로공사

국도

전국권 수집*(KT)
31개국도 업계 최다권역

일부 우회국도

일부 우회국도
(KBS보다는 많고 YTN보다는 적음)

일부 우회국도

06'~10'
누적점유율

37%

28%

21%

11%

지원맵

아이나비, 아틀란, 맵피, 지니, 루센, 루디, 엠피온

맵피, 지니, 아틀란

아이나비, 아틀란, 엔나비

아틀란, 지니

특장점

수집커버리지 국내 최다
(국도정보, 광역시 정보 최다)
송출망 : 6대 광역시중심

송출망 넓음(6대광역시+@)
국도 취약(일부 우회만. SBS와 동일수준)

송출망 넓음(6대광역시+@)
수도권 국도망 확보

국도 취약(일부 우회만...KBS와 동일수준)
신규 증설 답보

사이트

http://4Drive.co.kr

http://tpeg.mozen.com

http://dmbdrive.com/

http://www.sbsroadi.com/


* 각 방송사는 DMB로 해당 정보를 송출할 뿐, 수집업체의 수집 능력, 수집 커버리지가 중요한 요소를 차지합니다.
* 누적 점유율은 2010년 8월 말을 기준으로 하였으며, 단말기 모델 갯수를 기준으로 합니다.

[2008년 당시 각 방송사별 TPEG 구분]--------------------------------------------------------------------------------------

기간

유가
정보

결재방식

적용 단말기

기타 특징

YTN

4DRIVE

평생

송출

초기과금
&
후불재
(병행)

아이나비, 파인드라이브, 머큐리
고진샤, 투엠테크, 엘지전자, 유경 등 (총 49종)

*가장 많은 맵사와 단말사 적용
*자체 사이트에서의 인증식 과금 가능
*평생권/단말사가 배포한 이용권은 환불/교환/기변 불가
*1년권의 경우 잔여기간에 대해 수수료 비용 제외한 환불 가능
*콜센터 : 1577-0054

1년

평생

없음

초기과금

카필, 인켈, 레인콤, 하넥스지엔지 등(총 27종),

*http://tpeg.mozen.com
*자체 사이트에서의 인증식 과금 불허
*환불/교환/기변 불가
*1년권과 같은 기간서비스 불가
*초기과금형 서비스만 진행
* 콜센터 : 없음

MBC

DMB DRIVE

평생

없음

초기과금

SK에너지, TG삼보, 아이나비, 파인드라이브 등(총 30종)

*http://www.dmbdrive.com/
*자유게시판, 사용기, 질문답변 게시판 없음
*자체 사이트에서의 인증식 과금 불허
*환불/교환/기변 불가
*콜센터 : 1599-3315

SBS

로드아이

평생

송출

초기과금

하이온, 파인드라이브 등(총 10종)

*http://www.sbsroadi.com
*환불/교환/기변 불가
*콜센터 : 02-3408-5000

1년

SKT

TU 라이드온

3년

송출

초기과금

하이온, 파인드라이브 등(총 3종)

*위성파+지상파 DMB 일체형 패키지
*기간별 과금, 선택 결제
*환불/교환/기변 불가
* 콜센터 : 없음

*상기 자료는 2009년 1월 기준으로 작성되었습니다.
*초기과금 : 단말기의 판매시 가격에 TPEG 이용요금을 원가 개념으로 포함하여 판매하는 방식
*후불제 : TPEG 인증 모듈이 탑재된 단말기를 구매한 사용자가 TPEG 서비스 이용을 원하는 경우 해당 비용을 지불하고 사용하는 방식.

여기선, "네비家 몽이아빠"
navikorea@gmail.com